본문 바로가기
AI

트렐리스(Trellis), 3D 모델링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다

by Daniel_Lee 2024. 12. 9.
반응형

트렐리스 메인화면 (사진 = 트렐리스 홈페이지 캡처)

마이크로소프트가 선보인 AI 기반 3D 생성 모델 트렐리스(Trellis)가 3D 모델링을 간편하고 빠르게하며 많은 사람들의 주목받고 있다

 

1. 단순하고 직관적인 3D 모델링
3D 모델링은 대개 전문적 기술과 복잡한 작업을 요구하는 분야였다. 그러나 트렐리스는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이미지를 추가하면 원하는 3D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능은 SLAT(Structured LATent)와 Rectified Flow Transformers 기술 덕분에 다양한 3D 출력 형식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초보자도 간단하게 모델링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2. 기존 툴과의 차별화된 접근법
트렐리스는 오토데스크 마야(Maya)나 블렌더(Blender) 같은 기존 3D 모델링 소프트웨어와 명확히 다른 방향성을 보여준다. 기존 도구들은 상세한 작업과 커스터마이징에 강점을 두었지만, 높은 기술적 장벽이 단점으로 지적됐다.


반면 트렐리스는 AI 기반 자동화를 통해 작업의 복잡성을 줄이고, 기본적인 작업은 물론 수정 가능한 결과물을 제공하여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NVIDIA의 Instant NeRF와 같은 AI 기반 3D 도구와 비교했을 때도, 더 다양한 출력 형식과 편집 가능한 옵션을 지원하는 점이 돋보인다.

 

3. 범용성과 적용 가능성
트렐리스의 또 다른 강점은 다양한 산업군에서의 활용 가능성이다. 게임 개발자는 실시간 렌더링 최적화된 Radiance Fields를, 영화 제작자는 고품질 그래픽 작업에 적합한 메쉬를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목적에 따라 적합한 3D 표현 방식을 제공하는 점은 트렐리스가 게임, 영화, 가상현실(VR)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환영받는 이유 중 하나다.

 

4. 대규모 데이터셋으로 강화된 성능
트렐리스는 대규모 3D 자산 데이터셋으로 학습되어, 빠르고 정확한 모델 생성이 가능하다. 기존 툴들이 제공하지 못했던 다양한 출력 형식과 사용자 편집 가능성을 통해 제작자는 자신의 필요에 맞는 결과물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트렐리스는 단순히 3D 모델링 작업의 시간을 줄이는 도구가 아니라, 더 많은 사람이 3D 콘텐츠 제작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출력 형식과 범용성을 갖춘 트렐리스가 앞으로 어떻게 시장에 자리 잡아갈지 주목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