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런저런생각--13 애플 아이클라우드 이대로 괜찮나? 애플은 2011년 6월 iCloud를 출시한 이후 12년이 넘는 시간 동안 무료 저장 용량 5GB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들의 필요를 충족하지 못하는 수준이 됐다. 하지만 무료 용량 문제를 넘어, 유료 사용자 구조와 가격 정책에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경쟁사 대비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iCloud 유료 사용자현재 애플은 50GB 월 $0.99, 200GB 월 $2.99, 2TB 월 $9.99으로 iCloud 유로 플랜을 제공한다. 이 가격 정책은 2017년에 도입된 이후 변하지 않았다. 특히, 애플은 2015년과 2017년 사이 1TB를 월 $9.99에 제공하다가 이를 제거하고 2TB를 동일한 가격에 제.. 2025. 1. 21. 맥북프로 "이것은 단순한 노트북의 진화가 아닙니다. 컴퓨팅의 미래입니다." 2006년 1월, 스티브 잡스가 맥월드 무대에서 첫 맥북 프로를 공개했을 때 한 말이다. 19년이 지난 지금, 맥북 프로는 단순한 노트북을 넘어 창작자, 일반용자들이 선호하는 도구가 되었다.전환점2005년, 스티브 잡스는 IBM과 모토로라의 파워PC 프로세서를 버리고 인텔의 프로세서로 전환하겠다는 발표를 했다. 당시 애플은 20년 넘게 이어온 파워PC를 버리고 인텔과 협업을 하는 순간이었다. 파워PC G4와 G5 는 성능은 뛰어났지만 전력 효율성에서 큰 문제를 보였다. 특히 노트북용 G5 프로세서 개발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애플은 과감한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였다. 이는 단순한 프로세서 교체가 아닌, 맥 플랫폼 전체의 미래가 걸린 도박이였다.. 2025. 1. 19. AI 시장의 새로운 방향 SLM 2023년부터 기업들이 AI를 만드면서 세상에는 많은 AI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 중 대형 언어 모델 'LLM'을 기반으로 오픈AI의 '챗(Chat) GPT', 메타의 '라마(LLaMA)', 구글의 '팜(PaLM)', 엔쓰로픽의 '클로드(Claude)' 등 다양한 AI가 만들어졌다. 한편 마이크로소프는 2024년 12월 기존 LLM 모델의 AI가 아닌 '소형 언어 모델(SLM)'을 발표하며 기존 LLM 모델 뿐에 없는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만든 파이-4(Phi-4)는 SLM은 기술적 효율성과 보안 측면에서 현대 AI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한다.SLM이란?소형 언어 모델(SLM)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매개변수를 가지면서도 특정 작업에서 뛰어난 .. 2025. 1. 12. 갤럭시 노트 단종 3년 갤럭시 노트 시리즈가 단종된 지 어느덧 3년 반이 지났다. 한때 삼성의 혁신을 상징하던 노트 시리즈는 이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고, 그 자리는 S 울트라 시리즈가 차지했다. 삼성은 2021년 갤럭시 S21 울트라를 통해 처음으로 S펜 지원을 추가했다. 그러나 이 모델에는 노트 시리즈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내장형 S펜 슬롯이 없었다. 1년 뒤 출시된 S22 울트라는 내장형 S펜 슬롯을 탑재하며 사실상 노트 시리즈의 정신을 이어받았다. S23 울트라는 이 계보를 발전시켜 최고의 플래그십 스마트폰으로 자리 잡았고, 이제 갤럭시 S24 울트라는 노트 시리즈를 온전히 계승한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S24 울트라는 하이엔드 디스플레이, 강력한 카메라, 최신 프로세서, S펜 지원, 그리고 AI 기능까지, 한때 .. 2025. 1. 6. 애플도 실패한 VR 헤드셋 상용화 비전 프로 상용화··· 벽에 부딪히다 2024년은 애플이 야심 차게 내놓은 비전 프로(Vision Pro)는 VR 헤드셋 시장에서 대중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뛰어난 기술력을 자랑하지만, 애플의 디자인과 마케팅 전략에도 불구하고 VR 헤드셋의 대중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애플 비전 프로는 지난 2월 미국에서 출시되며 한국에는 11월 15일에 출시되었다. 3,499달러라는 높은 가격으로 출시되며, 얼리어댑터(early-adopter)를 주요 타겟으로 삼았다. 출시 이후 약 1년이 지난 지금, 애플은 비전 프로가 공간컴퓨팅 환경의 패러다임 전환을 일으키기보다는 특정 사용자층을 대상으로 한 제품에 머무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콘텐츠 라이브러리와 소프트웨어 기능은 꾸준히 확장되고 있으나,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2024. 12. 30. 에어팟의 경제적 성과 작지만 강력한 에어팟의 존재감애플의 무선 이어폰 에어팟이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엄청난 성과를 거두며 존재감을 입증했다. 2023년 한 해 동안 에어팟은 18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이는 닌텐도(120억 달러), 스포티파이(140억 달러) 등 유명 기업들의 매출을 넘어선 수치였다. 비슷한 기간 동안 이베이와 에어비앤비는 각각 100억 달러, 도어대시는 90억 달러, Shopify는 7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에어팟은 이들을 뛰어넘으며 애플의 주요 수익 창출원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ComeBack JACK!에어팟은 8년 전 아이폰 7과 함께 출시되었다. 당시 애플은 아이폰에서 헤드폰 잭을 제거하며 유선 이어폰 대신 무선 이어폰인 에어팟을 선택지로 제시했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불편함을 .. 2024. 12. 24.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