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생각--

애플도 실패한 VR 헤드셋 상용화

by Daniel_Lee 2024. 12. 30.
반응형

비전 프로 상용화··· 벽에 부딪히다

 

2024년은 애플이 야심 차게 내놓은 비전 프로(Vision Pro)는 VR 헤드셋 시장에서 대중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뛰어난 기술력을 자랑하지만, 애플의 디자인과 마케팅 전략에도 불구하고 VR 헤드셋의 대중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애플 비전 프로는 지난 2월 미국에서 출시되며 한국에는 11월 15일에 출시되었다. 3,499달러라는 높은 가격으로 출시되며, 얼리어댑터(early-adopter)를 주요 타겟으로 삼았다.

 

출시 이후 약 1년이 지난 지금, 애플은 비전 프로가 공간컴퓨팅 환경의 패러다임 전환을 일으키기보다는 특정 사용자층을 대상으로 한 제품에 머무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콘텐츠 라이브러리와 소프트웨어 기능은 꾸준히 확장되고 있으나,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여전히 높은 가격에 비해 실질적인 매력이 부족하다.

2025년 삼성글래스 출시··· 새로운 경쟁 구도?

이와 같은 상황에서 애플은 2025년 출시 예정인 삼성, 구글, 퀄컴의 합작품인 '삼성글래스(Samsung Glass)'와 경쟁을 해야한다. 

 

삼성글래스는 더욱 가볍고 패셔너블한 디자인을 강조하며, 가격 면에서도 비전 프로에 비해 더 경쟁력 있는 포지셔닝을 취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구글이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및 클라우드 기반의 광범위한 앱 생태계를 활용할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더 실용적이고 직관적인 사용 사례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비전 프로가 아직 구축하지 못한 몰입형 콘텐츠와 실질적인 활용성을 강화하는 데 있어 중요한 차별점이 될 것이다.

비전 프로와 삼성글래스, 승자는 누구?

애플은 비전 프로를 통해 VR과 AR의 혼합 현실(MR) 생태계를 선보이며, 이를 기반으로 기술 리더십을 유지하려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삼성글래스가 시장에 출시되면, 두 제품 간의 경쟁은 가격, 성능, 콘텐츠 생태계에서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삼성글래스가 애플의 비전 프로와 유사한 기능을 더 저렴한 가격에 제공한다면, 소비자들의 선택은 더욱 다양해질 것이다.

AR 안경, 웨어러블 컴퓨팅의 미래가 될까?

애플은 비전 프로를 통해 공간 컴퓨팅을 선보였다. 그러나 내년 삼성글래스의 등장은 시장 판도를 바꿀 중요한 변수가 될 가능성이 있다. VR과 AR 웨어러블 기술은 이제 단순한 기술을 넘어 소비자들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험대에 올라 있다.

 

2025년은 삼성글래스와 애플 비전 프로의 경쟁을 통해 웨어러블 시장의 향방이 더욱 명확해질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응형

'--이런저런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시장의 새로운 방향 SLM  (0) 2025.01.12
갤럭시 노트 단종 3년  (0) 2025.01.06
에어팟의 경제적 성과  (1) 2024.12.24
2024년 최고의 코딩 어시스트 AI TOP5  (1) 2024.12.20
2024 최고의 스마트폰 Top5  (1) 2024.12.20